전기차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중고 전기차에 대한 관심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중고 전기차도 정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듣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중고 전기차에 적용되는 보조금 정책과 실제 받을 수 있는 혜택, 신청 방법, 주의할 점까지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 중고 전기차, 보조금 받을 수 있나요?
정답: 일부 조건을 충족하면 가능합니다.
정부는 2023년부터 “전기차 중고차 구매 지원사업”을 시범 도입했고, 2025년에는 일부 지자체 중심으로 제도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2. 지원 대상 조건 (2025년 기준)
- 최초 등록 후 2년 이상 경과한 차량
- 전기차 성능 이상 無 (정상 주행 가능)
- 주행거리 12만 km 이하
- 배터리 잔존 성능 70% 이상 (BMS 진단 필요)
- 차량 등록지 기준 지자체 지원 정책이 있을 경우
즉, 모든 중고 전기차가 아닌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차량만 보조금 대상이 됩니다.
3. 어떤 보조금이 지급되나요?
중고 전기차는 정부 보조금은 현재 미지급되며, 일부 지자체에서만 자체 예산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예시 - 2025년 서울시:
- 중고 전기차 보조금: 최대 300만 원
- 저소득층 대상 추가 인센티브: 50만 원
- 총 지원금 최대 350만 원
제주도, 전북, 세종시 등도 중고 전기차 보조금 운영 중이며, 지역별로 예산 및 조건은 상이합니다.
4. 신청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 중고 전기차 구매 계약 체결
-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지원사업 공고 확인
- 필요 서류 제출 (차량 등록증, 성능 점검표 등)
- 지자체 예산 심의 및 승인 → 계좌 지급
일반적인 신차 보조금과 달리 후지급 방식(선 구매 → 후 지급)이 많습니다.
5. 주의해야 할 점
- 허위 성능 차량 보조금 수령 시 환수 조치
- 기존 보조금 수령 차량은 중복 불가 (보조금 받은 차 재판매 시 재지원 불가)
-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지자체별 상이)
보조금을 노리고 구매를 서두르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신속한 신청과 정확한 차량 진단이 중요합니다.
6. 중고 전기차 실 구매 혜택 요약
예를 들어, 2021년식 니로 EV 중고차를 2,300만 원에 구매한다고 가정할 경우:
- 지자체 보조금: 300만 원
- 취득세 감면: 약 100만 원
- 총 실 구매가: 약 1,900만 원
신차 대비 1,500만 원 이상 저렴하면서 보조금도 수령 가능하기 때문에 예산이 한정된 소비자에게는 매우 유리한 선택지가 됩니다.
결론
2025년 현재, 중고 전기차에 대한 정부 보조금은 제한적이지만 지자체별로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모든 차량이 해당되지는 않으며, 성능 조건과 배터리 상태, 보조금 이력 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신차 구매가 부담스럽다면, 보조금이 적용되는 ‘조건부 중고 전기차’도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전기차 구매 유의사항 TOP 7”을 소개합니다. 절대 실수하지 않기 위한 체크리스트, 꼭 참고하세요!
#중고전기차보조금 #2025중고전기차지원 #전기차지원금중고차 #지자체전기차보조금